천재는잊어라 썸네일형 리스트형 [강의] 축적의 시간_2부. 유령이 된 리더들_이정동 교수 지난 1부 '천재는 잊어라'에 이어서 2부 강의 정리다. 1부를 간략히 3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창의적 아이디어는 도움이 안 되며, 그 자체로 틀린 말이다. - 새로운 개념 설계를 위해선 시행 착오를 통한 '스케일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앞으로 우린, 일시적 총력 동원이 아니라, 장기적 경험 축적의 사회로 가야 한다. 1부 내용은 이 링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다. 그렇다면, 이제는 대안 제시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 2부. 유령이 된 리더들1) 유령이 된 리더들 지금까지, 한국의 성취는 놀랍다. 60년대 아르헨티나는 우리보다 3배 더 잘 살았지만, 지금은 우리가 3배 더 잘산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의 산업 잠재력은 고갈되어 가고 있다. 지난 20년간 새롭고 혁신적인 신산업은 등장하지.. 더보기 [강의] 축적의 시간_1부. 천재는 잊어라_이정동 교수 최근, 우연히 KBS에서 하는 '축적의 시간’ 강연을 봤다.알고 보니 지난 3월에도 비슷한 강연이 있었고, 이번에 두 번째 강연이더라. 강연자는 서울대학교의 이정동 교수님이었다. 강의 정리는 오랜만이다. 하지만, 그만큼 인상 깊었기에,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해 봤다. 관련해서 책 과 도 간략히 읽었다. 결론은 이것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도움이 안 된다. 그 자체로 틀린 말이다." 결론은 내가 기존에 가진 생각과 100% 일치한다. 나 역시 그런 건 없다고 보는 편이다. 창의적 아이디어가 중요하지 않다면 무엇이 중요한 것일까? 그 답은 바로 시행착오를 통한 ‘축적’에 있다. 강의와 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부. 천재는 잊어라. 1) 개념 설계 역량이란? 우리나라는 지금, 거의 모든 산업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