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희석

[GLA] 4주_인문적 독서와 예술적 일상에 관하여 이희석 코치님의 4주 강연의 일부입니다. 강의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요즘 인문학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 즐겁네요. :) 도입기존 인문학 책은 ‘지식관’에 해당되는 것이 많다. 아무래도 실용기반으로 ‘인문학’을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그럴 것이다. 가만 보면 사람들이 책을 접하는 태도와 강사인 내가 책을 접하는 태도는 다른 것 같다. 나는 곡괭이를 들고, 원석을 찾아보려는 자세를 가지는 반면, 대부분은 나무 밑에 누워서 ‘뭐라도 떨어지겠지’라는 느낌으로 책을 읽는 것 같다. 조금은 다른 자세가 필요하다. "자기경영서는 ‘실천하는 독자’를 만나면 효과를 발휘하고, 인문서는 ‘사유하는 독자’를 만나야 효과를 발휘한다." 1부 강연 Q. 인문학 독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성서 해석적 독서책에서.. 더보기
[GLA] 3주_문사철 식견을 어떻게 키울까 이희석 코치님의 4주 강연의 일부입니다. 강의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요즘 인문학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 즐겁네요. :) 1부 강연Q. 이 4주 간의 수업을 통해 우린 무엇을 배워야 할까?1. 인문학에 대한 큰 그림이 무엇인지?2. 인문소양을 어떻게 쌓을 수 있을지? Q. 심리학에 대한 간단한 언급그리스, 로마 시대 이래 학문의 큰 기둥은 ‘철학’이었다. 최초의 철학자는 탈레스다. 그는 세상을 처음으로 탐구했다. 당시 학자들은 역사, 자연, 인간을 다 연구했다. 이후 데카르트를 지나,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서, 자연과학이 떨어져 나온다. 이후 사회학과 심리학이 떨어져 나온다. 19C말에, 철학의 위기가 온다. 반증 가능성 없이 사유하는 것이 탁상공론처럼 들렸기에. 그 당시에 심리학의 위상이 대단해.. 더보기
[GLA] 2주_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 이희석 코치님의 4주 강연의 일부입니다. 강의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요즘 인문학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 즐겁네요. :) 1부 강연 Q. 라깡 “행위로의 이행” 나는 act하고 있는가? action하고 있는가? action은 행동 하는 척. act는 실제로 하는 것. act는 행위, 어떤 의지를 가지고 하는 짓.예를 들어, 매주나 매월에 한번씩 만나서 자신을 돌아볼 때가 있다. 그때 실제로 고민하지 않으면서 대화의 소재거리로서만 대화를 꺼내는 것, 그럴 때만 자신을 돌아보는 것은 무엇일까? act일까 action일까. 기만적 액션에 가까울 것이다. action은 기만적 액션과 충동적 액션으로 나뉜다. 코치님은 두 달 동안 유럽여행을 하다가 3일을 남겨놓고, 가방을 잃어버렸다. 그때 나는 기만적 행.. 더보기
[GLA] 1주_인문학 공부는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이희석 코치님의 4주 강연의 일부입니다. 강의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요즘 인문학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 즐겁네요. 1부 강연 오프닝 ‘인문학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4주를 준비했다. 이 4번의 강의 만으로도 충분하게. 인문학 공부가 지식 쌓기 이외의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저의 관점을 제시하겠다. Q. 다들 자기성장에 관심이 많을 것이다. 어떤 텍스트가 우리를 성장시키는가? (1) 자아적 텍스트 : 좋은 자기경영서 (예.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2) 시대적 텍스트 : 현재 우리가 사는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고, 상황 판단에 도움을 주는 책. 예를 들면 땅콩 회항, 프랑스 테러, 어린이집 폭행 사건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 라는 것. 일본의 가라타니 고진과 슬라보예 지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