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당신은 나를 아는가?
이제서야, 실존주의 작품으로 유명한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읽었다. 2013년이었나, "김화영의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 라는 도발적 번역 논쟁으로도 잘 알려진 작품이다. 검색해서 찾아보았더니 그 논쟁은 어느정도 정리된 모양이더라. (결국 해석의 자유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달았다.) 얼마 전 구매한 이북으로 읽었는데, 내가 가진 버전은 문예출판사의 것이다. 문장이 워낙 짧고, 문체도 독특해서 다른 번역본이 어떨지도 궁금하다. 기회가 되면 보기로 하자.
충격적이고 꽤나 잘 알려진 문장으로 소설은 시작된다. 내가 읽은 번역본에선 이렇게 써 있었다.
“오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어쩌면 어제였는지도 모른다.”
읽자마자 흥미진진했다. 좀 더 찾아보니 알베르 카뮈는 기자 출신이다. 문장을 읽으며 '역시나 첫 문장 (리드)을 뽑아내는 감각이 남다르구나.' 그런 엉뚱한 생각도 했다. 첫 문장의 역할이 다음 문장을 읽게 하는 것이라면, 본 소설에선 충분한 역할을 한 셈이다.
그렇게 책을 단숨에 읽고 난 뒤, 나는 얼마간 혼란스러웠다. 이 작품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 짧은 이야기가 엄청나게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품고 있었다. 사이코패스에서 예수까지.. 우린 ‘뫼르소'라는 한 인간의 이미지에서 온갖 모습을 발견할 수 있지만, 그 중 나에게 떠오른 질문은 이것이다.
“사람들은 나를 얼마나 잘 알까? 그리고 나는 그들을 얼마나 잘 알고 있나?”
이 소설은 철저히 뫼르소의 내면 세계를 서술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설 속 다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우린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리고 그건 실제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온갖 상상과 억측으로 나의 행동을 해석하지만, 그것은 진실일까? 아니, 진실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일까? 이러한 간극 때문에 중간 중간 재미있게 읽는 대목들이 유난히 많다. 무엇보다 나로썬, 뫼르소의 솔직함에 감탄할 지경이다.
“여자는 그냥 울고 있다. 나는 잘 알지도 못하는 여자가 그렇게 울고 있는 것이 몹시 이상했다. 나는 그 울음소리가 듣기 싫어다. 그렇다고 그런 말을 할 수도 없었다.” p.25
“우리들이 옷을 다 입었을 때 내가 검은 넥타이를 매고 있는 것을 보고 마리는 매우 놀라는 표정을 짓더니, 상을 당했느냐고 물었다. 나는 어머니가 돌아가셨다고 대답했다.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는지 알고 싶어 하기에 ‘어제부터’라고 대답했다.” p.43
“그때 나는 일요일이 또 하루 지나갔고, 어머니의 장례식도 이제는 끝났고, 내일은 다시 일을 시작해야 하겠고, 그러니 결국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을 했다.” p.51
언듯보면, “아니, 엄마가 돌아가셨는데.. 이런 싸가지 없는 놈이 있나..?" 란 생각이 들 정도로 냉담한 모습이다. 실제로 그는 이러한 행동 때문에 나중에 살인을 묻는 재판장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된다.
“배심원 여러분, 이 사람은 어머니가 사망한 바로 그 다음 날에 해수욕을 하고 부정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고 희극 영화를 보면서 시시덕거린 것입니다. 저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p.186
나는 이런 생각을 해봤다. 인정하기 싫을 수도 있지만. 실은 우리 대부분은 ‘답정너’가 아닐까? 답은 정해져 있고, 넌 대답만 하면 돼! 그런 우리에게 단지 필요한 것은 ‘그럴듯한 원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결과가 있으면 원인도 있어야 하기에. (특히나 중차대한 사건일수록 더욱 그렇기에) 다시 말해, 살인을 하기 위해선 동기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만큼 파렴치한이어야 한다. 그렇게 우린 우리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보고 싶은 것만 본다. 결국, 뫼르소는 ‘살인자’로 "판정" 되었다. 부모가 죽고 난 뒤에 보여야 하는 '의례적' 모습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시 질문을 던지자. 우린 얼마나 많은 ‘보편적 기준과 도덕’을 내세워 사람들을 가두는가? 우린 정말 진실이 궁금한 것일까? 하다 못해 변호사가 이렇게 일갈한다.
“도대체 피고는 어머니를 매장한 것으로 기소된 것입니까, 살인을 한 것으로 기소된 것입니까?”
방청객들이 웃었다. p.190
<이방인>이 발간된 1942년으로 가 보자. 당시 파리는 '제 2차 세계대전'을 치르던 중 이었다. 기존 가치가 모두 무너지던 시대. 이러한 부조리 앞에서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것이 있을까? 불변의 정의나 법칙이 있을까? 그런 것은 없다. 그저 살아갈 뿐이다. 그래서 이 소설이 엄청나게 흥행 했는지도 모른다. 카뮈는 스스로를 실존주의자가 아니라, 부조리주의에 가깝다고 말했다. ‘부조리 문학’이란 간단하다. 세상에는 어떠한 불변의 정의나 법칙이 없다는 것. 그리하여 인간은 매순간 최선을 다해 살아가며, 타협하지 않고, 부조리에 반항하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 그렇담, 지금 2016년 우리 대한민국은 어떤 사회라고 말할 수 있을까? 1942년의 파리와 비슷해보이지 않는가? 얼마 전까지 유행했던, 요즘 청년들이 자주 하는 말이 있다. “아이고 의미없다.” 이 말은 뫼르소가 자주 하는 말이기도 하다. 그도 우리와 같은 마음이었을까? 재미있는 연결이었다.
“사랑은 생활의 변화에 흥미를 느끼지 않느냐고 묻기에 사람이란 결코 생활을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고 어떤 생활이든 다 그게 그거며, 또 나는 이곳에서의 생활에 조금도 불만이 없다고 대답했다.” p.87
“저녁에 마리가 찾아와서 자기와 결혼할 마음이 있느냐고 물었다. 나는 그건 아무래도 좋지만 마리가 원한다면 결혼해도 좋다고 말했다.” p.88
“그 순간 나는 권총을 쏠 수도 있고 쏘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쏘아도 좋고 쏘지 않아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p.116
결론을 짓자. 지금의 이러한 부조리한 사회에 맞서 나는,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뫼르소의 어머니는 죽었고, 뫼르소도 그랬다. 그리고 나도 죽고, 당신도 죽는다. “어느 누구도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할 권리는 없는 것이다.” (p.242)는 그의 말처럼 죽음은 어떤 동 떨어진 세계의 것이 아니다. 죽음 앞에 섰을 때, 우린 진정한 이방인이 될 수 있다. 이방인인 그에겐 모든 것이 낯설게 보인다. 기존 세계의 질서는 나와는 상관없는 것이다. 한번 의심해보자. 마치 영원할 것 처럼 살아가는, 진리라고 생각되는 나의 믿음들을. 우리가 가진 그 모든 신념들을 낯설게 바라보자. 그 순간, 우리는 순간에 존재할 수 있다. 내 앞의 필터를 치우고, 그 순간의 자유함을 맛볼 때, 우린 진정한 나 자신을 마주하게 되지 않을까? 그제서야 내 앞에 놓인 사람을 진짜 눈으로 바라보게 되지 않을까? 어떤 신념이나 제도로 판단하지 않고, 구속하지 않은 채 말이다. 그 시작은 살아있다는 확실한 자각이 아닐까? 뫼르소의 마지막 절규가 우리에게 와서 꽃히는 것처럼 말이다.
“너는 어지간히도 자신만만한 태도다. 그렇지 않고 뭐냐? 그러나 너의 신념이란 건 모두 여자의 머리카락 한 올만한 가치도 없어. 너는 죽은 사람처럼 살고 있으니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확실한 자각조차 없지 않느냐? 나는 보기에는 맨주먹 같을지 모르나, 나에게는 확신이 있어. 나 자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확신. 그것은 너보다 더 강하다. 나의 인생과 닥쳐올 이 죽음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내게는 있어. 그렇다. 내게는 이것밖에 없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이 진리를 그것이 나를 붙들고 놓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굳게 붙들고 있다. 내 생각을 옳았고 지금도 옳고 언제나 또 옳으리라.” p.238
'독서 노트 > 인문학(문사철) 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폭력이란 무엇인가_슬라보예 지젝 (0) | 2016.11.06 |
---|---|
[성찰] 희망의 인문학_얼쇼리스 (0) | 2016.02.12 |
[성찰] 인생학교_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 (0) | 2015.12.10 |
[독서] 종이책 읽기를 권함_김무곤 (2) | 2015.11.30 |
[인문] 돈의 달인, 호모 코뮤니타스_고미숙 (2) | 2015.08.07 |